분류 전체보기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208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방법 이번 문제는 최소 힙을 적용한 우선순위 큐를 이용해 풀어야 했던 문제이다. 나는 정렬을 이용해 웨이브가 가장 큰 순서대로 해결하려 했다. 하지만, 이렇게 하게 되면 초반에 작은 웹이브들의 합이 갖고있는 병사의 수를 넘는 경우는 처리하지 못하기에 포기했다. 그렇다면 큰 웨이브는 무적권을 사용한다 치고, 작은 수만 골라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진 탐색을 통해 웨이..
1. 함수란?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스코프, 실행 컨택스트, 클로저, 메서드, this, 프로토타입, 모듈화,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등이 모두 함수과 관련되어있다. 함수는 동작하고자 하는 동작을 미리 만들어둔 기계와 같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는 일련의 과정을 문(statement)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이다. 함수는 입력을 받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입력으로 인수를 매개변수로 받게된다. 출력은 반환값을 출력하게 된다. 함수는 함수 정의를 통해 생성한다. 위의 사진은 함수 선언의 예시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함수를 선언할 수 있다. 함수는 정의한뒤 함수 호출을 통해 함수를 실행하게된다. 함수를 호출하면 코드를 실행하게된다. 이때 ..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919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는 이전에 풀었던 카카오 문제와 비슷하다. 2Level /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 [1차] 프렌즈4블록 문제 출처 링크 문제 설명 JadenCase란 모든 단어의 첫 문자가 대문자이고, 그 외의 알파벳은 소문자인 문자열입니다. 단, 첫 문자가 알파벳이 아닐 때에는 이어지는 알파벳은 소문자로 쓰면 됩니 58cjdcns99.tisto..
Javascript의 타입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바로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두가지로 분류한느 이유는 무엇일까? 원시 타입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하지만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이다.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실제 값이 저장된다.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 변수에 원시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 값에 의한 전달 변수에 객체를 가르키는 변수를 할당하면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 참조에 의한 전달 1. 원시 값 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변수의 원시 값을 재할당을 통해 변경이 가능한데 변경 불가능하다는..
1. SOLID 원칙 지난 시간에 공부했던 ‘비즈니스 로직’, ‘캡슐화’, ‘모듈성, ‘추상화’ 등을 이번에 배우는 SOLID라는 개념으로 더 확실하게 정리해보자. SOLID 원칙을 프론트엔드에 적용하면 단순 하드 코딩이 아닌 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으며 재사용성이 높은 코드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 1.1 SOLID 원칙 이란 SOLID 원칙은 5개의 원칙으로 이루어진 개념이다. SRP 단일 책임 원칙 단일 책임 즉, 하나의 요소가 하나의 변경이유를 갖게하라 로직 관리에 대한 것은 설계 단계 부터 소통을 통해 확립하자. OCP 개방-폐쇄 원칙 기존 코드를 수정하기 보다 새로운 코드를 추가해 코드 변경에 용이하게 설계(ex. CCP)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관리 차원에서 라이브러리 등 변할 수 있는 ..
비즈니스 로직이란 서비스에 적용할 기능 혹은 효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JWT등), 닉네임 변경 등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 1. 비즈니스 로직과 UI 기능 구별하기 UI 로직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며 보여지는 외부 요소들, 즉 생김새를 의미한다. 하지만, 비즈니스 로직은 특정한 상황이나 조건에 맞게 설계된 비즈니스에 맞춰진 작업의 흐름이다. 대부분의 비즈니스 로직은 백엔드 API와 DB 사이에서 구현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프론트엔드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이해해야하는 이유는 비즈니스 로직을 인식하고 UI 로직으로 부터 분리 및 백엔드로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2. '소프트'웨어를 '소프트' 하게 소프트웨어는 '부드러움을 지니도록' 만들어졌다.소프트웨어를 만든 이유는 기계의 행위를 ..
58청춘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