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Batching 이란? Batching이란 React가 더 나은 성능을 위해 state 업데이트를 모아서 한번의 리렌더링을 진행하는 메커니즘을 말한다. 1.1 Batching의 장점은? React에서 성능적인 장점을 갖는다. 여러개의 state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발생하는 불필요한 리렌더링을 막기 때문이다. 식당에서 메뉴를 주문하면 한개씩 결제하지 않고 메뉴를 종합해 한번에 결제하듯이 Batching은 한번의 리렌더링을 한다. 1.2 그렇다면 언제나 한번에 보낼까? React 18 이전까지는 그렇지 않다. 데이터를 외부에서 가져와 특정 함수 내부에서 state를 업데이트 하거나, 비동기 혹은 Promise, native 이벤트 핸들러 등 특정 상황에서는 한번에 보내지 못하고 여러번 나누어 보내기도 한..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방법 단순히 for문을 중첩해서 사용하면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문제 풀이 방법을 생각했다. 그래서 이 문제는 원의 방정식을 이용해 풀었다. x^2 + y^2 = d^2 인 공식을 이용해 x에 대한 y값이 될 수 있는 범위를 구했고, 이를 이용해 문제를 풀었다. 코드 const solution = (k, d) => { let answer = 0; for(let i=0; i
Diffing 알고리즘을 알려면 먼저 이 글을 읽고 VDOM에 대해 알고 와보자 React) Virtual DOM 가상 돔1. 문서 객체 모델 DOM 1.1 DOM DOM은 Document Object Model 의 약어이며, 메모리에 객체로 웹 페이지 문서 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XML이나 HTML로 작성한다. DOM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트리 형태인 DOM 구조58cjdcns99.tistory.com 1. Diffing 알고리즘이란?리액트 공식문서(레거시)의 한 부분을 가져와 봤다.하나의 트리를 가지고 다른 트리로 변환하기 위한 최소한의 연산 수를 구하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 위한 일반적인 해결책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최첨단의 알고리즘도 n개의 엘리먼트가 있는 트리에 대..
1. 문서 객체 모델 DOM 1.1 DOM DOM은 Document Object Model 의 약어이며, 메모리에 객체로 웹 페이지 문서 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XML이나 HTML로 작성한다. DOM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트리 형태인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특정 노드(문서, 구조, 스타일 등)를 찾거나 수정, 제거, 원하는 곳에 삽입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DOM을 활용해 객체에 Javascript와 CSS를 적용한다. API (web or XML page) = DOM + JS (scripting language) DOM과 접근 방법에 대해 추가로 알아보기 위해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자 DOM 소개 - Web API | MDN 이 문서는 DOM에 대한 개념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문..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735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방법 문제는 정렬과 XOR, 배열 요소의 합을 얼마나 잘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문제였던거 같다. 코드 const solution = (data, col, row_begin, row_end) => { let answer = 0; let arr = data.sort((a, b) => a[col-1] === b[col-1] ? (b[0] - a[0]) : a[col-1] ..
React는 오직 V(View)만 신경 쓰는 라이브러이다. 1. 컴포넌트 React 프로젝트에서 특정 부분의 생김새와 재사용 가능한 기능들을 내장하며, 컴포넌트의 생김새와 작동 방식을 정의한 선언체이다. 2. 렌더링 사용자 화면에 뷰를 보여주는 것을 렌더링이라 한다. React는 가상DOM을 사용해 렌더링을 이루지만, 변경된 부분만 실제DOM에 적용된다. 2.1 초기 렌더링 사용자에게 맨처음 어떻게 보일지를 정하는 작업 위의 작업은 render() 함수가 한다. render() 함수는 뷰의 모습과 동작방식이 담긴 정보 객체를 반환한다. 최상위 컴포넌트가 render() 하면 자식 컴포넌트도 재귀적으로 렌더링 한다. render() 함수가 실행되고, 해당 컴포넌트의 가상 DOM이 생성되며, 변경사항이 실제..
58청춘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7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