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와 기술적, 두 관점으로 나뉜다. 비즈니스적 관점1. 온라인 상의 상점이나 건물을 만드는 작업이다.이는 회사의 서비스를 소개, 고객에게 어필하여 고객이 유입 가능한 통로를 만드는 것. 2. 또한 퍼널 단계에서 사용자가 각 구매 단계별 적절한 UI를 단계별로 보여주고, 각 퍼널의 전환 비율과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고민을하는 것. 3. 최적화된 프로세스로 UI/UX 반영에서 Backend Service 까지 전달하는 것. 기술 관점크게 4가지가 있다.1. 퍼블리싱: 전반적인 웹 페이지의 화면을 만듬 => HTML 마크업, CSS 스타일링2. 재사용 가능한 UI 컴포넌트 제작(React), 디자인 시스템 구축(Storybook)3. 클라이언트와 서버 상태 관리: 각 상황에 맞는 데이터를 서버에서 가져..
분류 전체보기
문제 설명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4539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문제 풀이 방법이번에 다시 풀어본 문제는 시간 복잡도 최적화가 중요한 문제이다. const solution = (numbers) => { let answer = new Array(numbers.length).fill(-1); for(let i = 0; i numbers[i]){ answer[i] = numbers[j]; ..
CRA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이유CRA(Create-React-App)을 사용하면 빠르게 React 프로젝트를 설정할 수 있다. npm create-react-app my-app 명령어 한줄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기본 패키지가 모두 설치되고 설정 파일이 모두 자동으로 생성되고 기초 파일까지 생성된다. 이렇게 편한 사용법을 이유로 지금까지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했다. 하지만 분명 편리한 방법이지만 한계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따라 프로젝트의 기존 설정을 변경해야할 때가 존재할 수 있다. CRA를 이용해 생성된 React 앱은 하나의 build 의존성을 갖고 모든 패키지와 설정 정보를 다른 곳에 보관하고 있다. 이로 인해 Webpack, Babel, Typescript 등의 ..
요즘 다시 열심히 취업을 준비하면서 여러 회사의 공고문을 접하게되었다. 그런데 보는 공고문마다 자주 등장하는 문구가 있었는데.... 바로 오늘 다뤄볼 애자일(Agile) 개발론이다. 애자일 개발론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접근 방법 중 하나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강조되는 방법론이다. 간단히 풀어서 설명해보겠다. 장점 하나의 팀이 하나의 목표를 갖고 개발 중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자주 체크하고, 소비자(클라이언트)에게 얻은 비드백, 요구사항 등 변화사항을 실시간으로 적용해 나가며 개발하는 방식이라 생각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한번에 프로덕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Interation을 통해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을 주도해 나가는 것이다. 반복되는 Inte..
22.1 this 키워드 객체는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은 복합적 자료구조이다. 메서드는 자신이 속한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객체 리터럴 방식으로 정의된 객체는 재귀적으로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킬 수 있다. const circle = { radius: 5, getDiameter() { // 해당 메서드가 속한 객체의 프로퍼티나 다른 메서드를 참조하려면 // 자신이 속한 객체인 circle을 참조할 수 있어야 한다. return 2 * circle.radius; } } 위의 예제의 객체 리터럴은 circle 변수에 할당되기 직전에 평가되어 getDiameter..
문제 설명 https://www.acmicpc.net/problem/18111 18111번: 마인크래프트 팀 레드시프트는 대회 준비를 하다가 지루해져서 샌드박스 게임인 ‘마인크래프트’를 켰다. 마인크래프트는 1 × 1 × 1(세로, 가로, 높이) 크기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3차원 세계에서 자유롭게 www.acmicpc.net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완전탐색 알고리즘의 일종인 브루트포스 문제이다. 각 기준 높이에 맞는 시간과 최대 높이를 측정하여 정답을 도출한다. 블럭의 최대 높이는 256까지 이므로 반복문을 이용해 0부터 256까지의 기준 높이를 설정하며 각 블럭에서의 기준 높이까지 맞추기위해 필요한 제거 횟수와 채움 횟수를 측정, 제거한 블럭과 기존에 갖고있던 블럭의 수가 넣어야 하는 블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