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지난 프로젝트에서 TanstackQuery의 캐싱를 사용하며 "TanstackQuery를 왜 사용해야 하나" 라고 든 생각이 계속해서 머리속에 남아 내 생각을 정리하고자 이 글을 쓰기로 했다. Tanstack Query가 뭔데?Tanstack Query(구  React-Query)는 Tanstack에서 출시한 강력한 비동기 상태 관리를 지원하는 도구이다.상태란?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문자열, 배열, 객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이며,페이지가 렌더링된 이후 사용자 상호작용의 모든 동작과 결과를 의미한다.  그럼 왜 사용하는데? React에서 로짓은 위의 사진과 같이 동작한다. View 컴포넌트를 화면에 표현하여(렌더링)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Action 상호작용으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구현, 이렇게 받은..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3190  풀이뱀의 이동 매커니즘을 큐를 이용해 뱀의 이동 경로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 뱀의 길이 및 뱀의 위치를 계산한다. 코드const input = require('fs') .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__dirname + '/example.txt') .toString().trim().split('\n').map(e => e.split(' '));const N = +input.shift()[0];const apple = +input.shift()[0];const applePos = input.splice(0, apple).map(e => e.map(Numbe..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6234 풀이이 문제는 BFS를 학습하기 위해 풀어본 문제이며 이 문제를 통해 BFS를 조금 알기 시작했다.... 문제에서는 각 칸마다 연합을 연결할 수 있는 나라인지 확인한 뒤 계속 인접 칸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러한 풀이 방식에서 인접 노드 탐색을 진행하는 BFS를 적용해야한다. bfs 함수를 실행하는 이중 for문은 각 칸마다 연합을 만들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경우를 구현하기위해 사용했고, 해당 노드가 방문했던 노드임을 나타내는 visited 배열을 생성했으며 이 배열을 bfs 함수에 전달해 함수 내부에서 방문 여부를 확인해 방문 하지 않고, 함수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의 노드와 현 위치의 노드 간의 차이가 문제에서 주어진 범위 안에 있다면 ..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4502 풀이이 문제는 BFS를 이용해 풀이했다. 바이러스가 확장되는 모습이 BFS의 인접한 노드를 모두 방문하는 로직과 비슷했기에 BFS를 이용했다. 하지만 벽을 세우는 로직은 DFS와 비슷하다. 모든 빈 공간 중 3 칸에 벽을 세우는 경우를 구현하는데에 DFS와 같은 모습을 갖는 3개의 for 반복문을 이용해 구현했다. 코드const input = require('fs') .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__dirname + '/example.txt') .toString().trim().split('\n').map(e => e.split(' ').map(Numb..
실행 컨텍스트는 자바스크립트의 동작 원리를 담고 있는 핵심 개념이다. 1 소스코드의 타입ECMAScript 사양은 소스코드를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한다.소스 코드의 타입설명전역 코드전역에 존재하는 소스 코드이며 전역에 정의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되지 않는다.함수 코드함수 내부에 존재하는 소스 코드를 말하며 함수 내부에 중첩된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되지 않는다.eval 코드빌트인 전역 함수인 eval 함수에 인수로 전달되어 실행되는 소스코드를 말한다.모듈 코드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소스코드를 말하며 모듈 내부의 함수, 클래스 등의 내부 코드는 포함되지 않는다. 소스 코드를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소스코드의 타입에 따라 실행 컨택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관리 내용이 다르기 ..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4890 풀이문제에 주어진 지도를 가로줄을 검증한다. 오른쪽의 블럭이 왼쪽 보다 클 경우는 이전까지의 평지의 길이를 비교해 경사로를 놓을 수 있으면 넘어가고, 왼쪽블럭이 더 큰 경우는 평지의 길이에서 미리 경사로 설치에 필요한 길이를 빼준다. 이 부분에 대해 설명하자면, 뒤에 평지가 나오면 더해지기 때문에 놓을 수 있다면 하나씩 늘어나 양수가 되지만 놓을 수 없다면(더 크거나 작은 블럭이 있는 경우) 음수가 되기 때문에 반복문을 탈출한다. 이후 가로 세로를 변경해 한번 더 반복한다. 코드const { link } = require('fs');const input = require('fs') .readFileSync(process.platfo..
58청춘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7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