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로그인 API를 구현하고 이제는 컴포넌트들을 생성하여 API와 연결해줘 완성을 했다. 만드는 동안 발생했던 에러들과 내가 새로 알게된 것들과 함께 정리하는 시간을 갖아보려한다. 내가 공부한 로그인 방법의 API를 정리한 글에서 나와있듯이 데이터 입력 > 데이터 검토 > 유효성 검사(토큰확인) > 결과 와 같은 순서로 구성되어있으며, 위의 기능들을 하기 위한 장치들은 API에서 모두 만들어 놨으므로 이제는 이용하는 일만 남았다. 모듈에서는 액션, 액션생성함수, 리듀서, 초기State를 담아주고, 최상위 index에서는 store와 sagaMiddleware, localstorage를 관리해준다. 그리고 컨테이너에서 dispatch로 액션을 전달하여 State에 정보를 전달해준다. 데이터의 흐름은 페..
분류 전체보기
문제 설명 String형 배열 seoul의 element중 "Kim"의 위치 x를 찾아, "김서방은 x에 있다"는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seoul에 "Kim"은 오직 한 번만 나타나며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제한 사항 seoul은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seoul의 원소는 길이 1 이상, 2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Kim"은 반드시 seoul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제 풀이 방법 나는 일단 find()를 이용해 빈 배열에 답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풀었다. 성공했지만 속도가 조금 느리다 생각해서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봤다. 다른 풀이를 보니 indexOf()를 이용해 index를 찾고 답을 반환하는 방법이 좋다 생각했다. 내가..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중 3개의 수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숫자들이 들어있는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nums에 들어있는 숫자의 개수는 3개 이상 50개 이하입니다. nums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0 이하의 자연수이며, 중복된 숫자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는 우선 소수 판별 함수를 한개 미리 선언하고 그 다음에 문제를 풀었다. DFS를 적용해 문제를 풀었다. 소수임이 판별되면 answer에 1을 더하도록 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내가 작성한 코드 const isPrime = ..
문제 설명 함수 solution은 정수 n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 n의 각 자릿수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한 새로운 정수를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18372면 873211을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사항 n은 1이상 8000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문제 풀이 방법 number타입으로 입력이 들어오기에 내가 원하는 배열에서 비교를 하기위해 해체할당으로 배열에 할당한다. 그리고 각 요소들을 숫자 타입으로 바꾸기 위해 1을 곱해주고 이후 sort 메서드를 이용해 비교해 준다. 이후 join 메서드를 이용해 문자열로 만들어 준뒤 1을 곱해줘 number 타입으로 변환시켜준다. 코드 function solution(n) { return [...(n+"")].map(e => e*1).sort(..
지난번 작업 이후 진행된 작업 1. register시 중복확인 기능 2. DB와 연결 3. MySQL2 라이브러리 사용 4. DB의 쿼리문을 Promise 방식으로 값 반환 5. env 환경변수 간단하게 적용 6. JWT 토큰 발급, 인증, 재발급 기능 구현 7. 로그아웃 기능 추가 위와 같은 작업을 했다. 와성된 코드를 보며 작업 당시 경험했던 어려움을 적어보겠다. 코드 modules/user.js import db from './db.js'; import bcrypt from 'bcrypt'; import jwt from 'jsonwebtoken'; // 비밀번호 생성 export const setPassword = async (password) => { const hash = await bcrypt..
문제 설명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제한 사항 공백은 아무리 밀어도 공백입니다. s는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공백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s의 길이는 8000이하입니다. n은 1 이상, 25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문제 풀이 방법 아스키 코드를 이용해 푸는 방법을 선택했지만 미리 알파벳 배열을 만들고 그 배열을 이용해 푸는 방법도 있다. 우선 문자열을 split('')로 분리시켜준 뒤 map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