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자바스크립트의 탄생 웹 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스크립트를 브렌던 아이크가 개발했다. 2.2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 MS의 자바스크립트 파생 버전인 JScript와 자바스크립트가 표준화 되지 못하고 적당한 호환이 되었다. 그로인해, 브라우저에 따라 웹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가 발생하기 시작해 모든 브라우저에서 원활하게 동작하는 웹페이지 개발이 어려워졌다. 이때 모든 브라우저에서 정상 동작하기 위한 자바스크립트의 표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 필요성에 의해 비영리 표준화 기구인 ECMA인터내셔널에서 ECMAScript 사양이 완성되었다. 2015년에 공개된 ES6 이후로 이전에 있는 공개보다는 비교적 작..
분류 전체보기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96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방법 객체 형식으로 name에 있는 이름들 마다 추억 점수를 할당해준다. 그리고 photo 배열에 있는 배열을 순회하며 점수를 측정해 반환한다. 완성된 코드 const solution = (name, yearning, photo) => { let answer = []; let list = name.reduce((acc, key, i) => { acc[key] = yearni..
1.1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래밍이란 문제 해결 능력으로 요구사항을 이해 및 풀이하고 정리하여 문제 해결을 위해 기계에게 정확하고 상세히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작업이다. 문제 해결 방안을 고려할 때는 컴퓨터 입장에서 문제를 보는 컴퓨팅 사고를 갖고 논리적 수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또한, 해결 과제를 작은 단위로 분해하고 패턴화해서 추출하며, 프로그래밍 내에서 사용될 모든 개념은 평가 가능하도록 정의해야한다. 기능 디자인에서는 판단해야하는 상태와 그 상태를 판단하는 시기, 그리고 판단 기준을 정의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분해한 처리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1.2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정의된 문제 해결 방안은 컴퓨터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컴퓨터는 기계어로 명령을 전달해야 이애하고 동..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226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방법 수학적인 문제 풀이가 중요한 무제이다. while 반복문을 이용해 문제를 풀었으며 새로 얻은 콜라와 남았던 콜라를 더해 다음 단계(?) 의 콜라 갯수를 구해 계산을 진행했다. 완성된 코드 const solution = (a, b, n) => { let answer = 0; while(n >= a){ const get = Math.floor(n/a) * b; answer..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565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풀이 방법 나는 이 문제를 봤을 때 생각나는 문제가 있었다. [JS] 3Level / 탐욕법 / 단속카메라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 58cjdcns9..
1. ==와 ===의 차이점 느슨한 동등 비교 연산자(==)와 엄격한 동등 비교 연산지(===)는 동일한 비교 연산을 하지만, 엄격한 동등 비교 연산자의 경우에는 타입변환(Type Conversion)을 허용하지 않아 타입이 일치해야한다. 엄격한 동등 비교는 타입변환이 없기 때문에 값과 타입이 모두 같아야 동등하다는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예외가 없지만, 느슨한 동등 비교 연산의 경우 주의해야할 예시가 몇몇 있다. 2. == 의 동작 타입이 다른 두 값을 ==로 비교 시, 한쪽 또는 양쪽 피연산자에서 타입을 일치시켜 간단히 값만 보고 비교한다. 2-1 NaN 비교 NaN은 그 자신과도 동등하지 않기에 어떤 동등비교를 해도 동등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 2-2 +0과 -0 비교 +, - 와 같은 부호는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