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제한 사항 공백은 아무리 밀어도 공백입니다. s는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공백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s의 길이는 8000이하입니다. n은 1 이상, 25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문제 풀이 방법 아스키 코드를 이용해 푸는 방법을 선택했지만 미리 알파벳 배열을 만들고 그 배열을 이용해 푸는 방법도 있다. 우선 문자열을 split('')로 분리시켜준 뒤 map을 이..
코딩 테스트/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문제 설명 함수 solution은 정수 x와 자연수 n을 입력 받아, x부터 시작해 x씩 증가하는 숫자를 n개 지니는 리스트를 리턴해야 합니다. 다음 제한 조건을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x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n은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문제 풀이 방법 제한 사항에서 n의 크기만큼 더해주는 동작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를 생각했을 때 단순 for문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메서드를 사용했을 때 보다 오래 걸릴것같았다. Array(n)을 이용해 길이가 n인 배열을 생성하고 fill(x)로 각 인덱스에 x를 넣어주었다. 그리고 map으로 각 요소들을 i + 1 만큼씩 곱해줘서 반환해준다. 코드 funct..
문제 설명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는 간단하게 Number() 로 변환할 수 도있고 +s, s/1, s*1 같이 문제를 풀 수 있다. 코드 const solution = (s) => { return Number(s) // +s, s/1, s*1 }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 사항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문제 풀이 방법 우선 s로 들어오는 문자열은 대문자도 섞여 들어올 수 있기에 모두 소문자로 바꾸기위해 toLowerCase() 메서드를 이용해 새로운 변수를 선언해 준다. 그리고 p와..
문제 설명 임의의 양의 정수 n에 대해, n이 어떤 양의 정수 x의 제곱인지 아닌지 판단하려 합니다.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라면 x+1의 제곱을 리턴하고, n이 양의 정수 x의 제곱이 아니라면 -1을 리턴하는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n은 1이상, 50000000000000 이하인 양의 정수입니다. 문제 풀이 방법 이번 문제는 Math 메서드를 사용해서 풀어봤다. 우선 sqrt()를 이용했지만 이 메서드는 소숫점 8자리밖에 안나와 정확도가 떯어져서 첫번째 시도에서는 불통이 3개있었다. 이 부분은 ceil()을 사용해 해결했는데, 소수점 자리에 값이 있다면 +1이 되는 성질을 이용해 비교시 결과를 위해 사용해서 풀었다. 코드 function solution(n) { const num = Math..
문제 설명 자연수 n을 뒤집어 각 자리 숫자를 원소로 가지는 배열 형태로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2345이면 [5,4,3,2,1]을 리턴합니다. 제한 사항 n은 10,000,000,000이하인 자연수입니다. 문제 풀이 방법 n은 number 타입으로 들어오기에 우선 String 타입으로 바꿔주고 펼침연산자를 이용해 배열에 할당해준다. 이후 reverse()를 이용해 뒤집어 주고 map()으로 각 요소를 parseInt()로 숫자화시켜준다. 코드 function solution(n) { const answer = [...`${n}`].reverse().map(e => parseInt(e));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