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테스트/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문제 설명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를 보고 2중 배열을 이용해 풀려했지만 n의 길이가 10^7까지이므로 길어지게 된다면 런타임 에러가 날수 있다고 생각해 1차원 배열 형식으로 풀어 봤다. 우선 2차원 배열에서의 가로 세로 row와 col을 구하는 법은 구해야 하는 인덱스값을 n으로 나눈 나머지 값이 row이다. 그리고 인덱스값을 n으로 나눈뒤 floor 작업을 해준 값이 col이다. 규칙을 보면 row값이 col보다 작은거나 같은 경우는 col+1값이 되며, row가 col보다 큰 경우는 row+1값이 된다. 코드 function solution(n, left, right) { let arr = [] for(let i = left; i col){ num = row } arr.push(num + 1) } ..
문제 설명 문제 풀이 방법 나는 이 문제를 보고 dfs로 풀자는 생각을 못하고 순열을 이용해 풀려했다..... dfs로 풀어야지 완전탐색이 가능하다고 생각했지만 dfs 구현을 잘 못해서 결국 힌트를 봤다.... dfs는 각 노드별 방문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배열을 만들고 재귀를 이용해 문제를 풀어간다. 내가 낮설었던 것은 재귀한 뒤 방문여부 배열을 다시 초기화 하는 것이였다. 코드 const solution = (k, dungeons) => { // dfs로 문제를 풀면 방문하는 노드가 방문을 했었는지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한 루프에 빠질 수 있음) let answer = 0; let visited = Array(dungeons.length).fill(false); const dfs = (poin..
문제 설명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는 filter 메서드의 사용이 중요했던 문제였던것 같다. 첫번째로 참고한 코드는 filter메서드의 사용이 중요한 코드이다. 흐름을 보면 skill_trees에서 tree들을 걸러야 되므로 1차적으로 filter메서드를 사용, 그 다음에는 skill_trees들의 각 요소 별로 skill에 있는 맨 처음 글자가 먼저 오는 방식이기에 skill에 속한 글자들이 있는 문자를 includes를 이용해 첫번째 문자를 추출한 뒤 indexOf를 이용해 skill에서의 index값이 0인 요소를 모아 길이를 반환한다. 두번째 코드는 정규식으로 풀 수 있는 코드이며 흐름을 보자면 전체 skill_trees를 map메서드를 이용해 순회해주고 각 요소별 replace메서드를 정규식과 ..
문제 설명 문제 풀이 방법 알파벳이 들어가는 사전 배열을 만들어준다. for문으로 msg를 순회하며 word에 msg[i]의 문자를 더해준다. 그리고 word가 사전에 있다면 사전에서의 index값을 저장한 뒤 다음 바퀴에서 또 word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없다면 그 word는 사전에 등록하고, 저장한 index값을 answer배열에 push메서드로 넣어준다. 마지막에는 for문이 다 돌때 마지막 index값을 answer배열에 넣어주지 못하기에 for문이 끝나고 마지막 index값을 넣어준다. 이 코드와 내가 처음 생각했던 방식의 순서가 반대이다. 나는 먼저 문자가 있는지 확인한 다음 배열에 넣는 방법이였지만 문제에서는 오류를 일으키는 방법이다. 이렇게 체크한 뒤 데이터를 가공하는 문제는 항상 ..
문제 설명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는 3가지 단계로 나누어 풀었다. 주어진 문자열을 2개씩 나누는 작업(특수문자, 숫자 등이 있으면 제외하는 작업도 포함) 합집합과 교집합을 구하는 작업(이때 다중집합 작업을 해줌) (추가 23-06-11) set을 이용한 이유는 두개씩 나누어진 배열들 간 겹치지 않는 요소들을 모은뒤 이를 이용해 set의 요소별 나누어진 배열들에 있는 같은 요소들의 갯수를 구해 교집합, 합집합을 구하기 위함이다. 나온 합집합과 교집합을 이용해 답을 구하는 작업 내가 작성한 코드 const solution = (str1, str2) => { let arr1 = makeArr(str1.toLowerCase()); let arr2 = makeArr(str2.toLowerCase()); // 다..
문제 설명 문제 풀이 방법 최소 공배수는 두 수를 곱한 값을 최대 공약수로 나눈 것이기에 배열을 돌며 2개씩 곱하고 두 수의 최대 공약수로 나누고, reduce메서드로 이전에 나온 최소 공배수와 계산을 해주고 모두 더해주면 된다. 내가 작성한 코드 const solution = (arr) => { return arr.reduce((a, b) => (a*b) / getGcd(a, b),1) } const getGcd = (a, b) => a % b === 0 ? b : getGcd(b, a%b)
58청춘
'코딩 테스트/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카테고리의 글 목록 (20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