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짧은 순간에 데이터를 보여주는 컴퓨터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등 여러 요소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웹 동작에 필요한 각 요소와 그 사이 상호작용을 정의해 놓은 것을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라고 한다. 웹 클라이언트, 그리고 웹 서버스테이크 맛집인 아웃백에 들어갔다고 생각하자. 우리는 종업원분께 스테이크를 주문하고 종업원은 요리사에게 주문 내역을 전달한다. 요리사는 주문이 들어온 음식의 레시피에 맞게 음식을 조리하고 완성된 음식을 종업원에게 전달하고, 종업원은 우리에게 스테이크를 대접할 것이다. 이때 우리의 주문을 확인한 종업원을 웹 클라이언트, 주문 내역을 받아 요리를 만다는 요리사를 웹 서버라 볼 수 있다. 이 두 프로그램의 목적은..
CSR와 SSR을 비교하며 알아보기 전에 SPA(Single Page Application)과 MPA(Multiple Page Application)에 대해 알아보자 ◎ SPA (Single Page Application) 한개의 html 파일을 기반으로 Javascript를 이용해 화면의 컨텐츠를 동적으로 바꾸는 방식의 웹 어플리케이션 -> 웹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모든 리소스를 최소 한번에 다운로드한다. 장점 페이지 요청시 전체 페이지를 업데이트 할 필요가 없기에 화면에 깜빡 거림이 없어 사용자 경험(UX)가 좋다. 정적 리소스를 한번만 요청하고 받은 데이터는 전부 저장하기에 필요한 리소스만 로딩하기에 성능 면에서 좋다. 서버의 템플릿 연산을 클라이언트로 분산이 가능해 성능면에서 좋다. 컴포넌트 별로..
58청춘
'CDN'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