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웹 서버 구축 (1) - 외부에서 라파 접속 가능하게 하기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웹을 제공해줄 웹 서버를 구축해야했는데, 이전에 같이 프로젝트를 개발했던 팀원이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웹 서버를 구축한 것을 봤다. 재미있을것 같아 필자도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웹 서버를 구축할 예정이다.
물론 저수준 웹서버이지만, 그래도 서버를 구축을 경험, 서버비 절약(AWS의 프리티어 기간이 끝나 악덕한 비용을 본 경험이....)을 위해 진행할 예정이다.
위의 사진과 같은 흐름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것이다.
위 과정에서 라즈베리파이를 웹 서버로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 IP로 파일을 내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3가지 과정이 필요하다.
- 라즈베리파이의 내부 IP 고정
- IP 포트포워딩
- 라즈베리파이에서 DB 및 nodejs 등의 설치 및 테스트
내부 IP 고정
우선 라즈베리파이를 킨 다음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알아야한다.
ifconfig
해당 IP는 고정시키지 않으면 가끔 유동적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고정시키는 편이 좋다.
필자는 라즈베리파이를 무선으로 연결했기 때문에 wlan에 나오는 Mac과 IP 주소를 사용하겠다.
이후 공유기의 게이트웨이 주소를 알아내어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해보자.
ipconfig
위 사진의 유선 MAC의 맨뒤 6자리가 관리자의 비밀번호이며, 보통 아디이: admin, 비밀번호: (유선 MAC 뒤 6자리)_admin이 계정이다.
유선 MAC 뒤 6자리 + _admin 이 초기 비밀번호이다.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을 했다면 고급설정-네트워크-네트워크 설정으로 이동하면 DHCP 서버에 추가적인 IP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입력하는 MAC 주소와 IP 주소는 모두 라즈베리파이의 주소를 가져와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지정해 주면 같은 망 내의 단말기에서 라즈베리파이에 원격으로 접속이 가능하지만, 우리는 망 외부의 접속을 허용해주는 서버를 구축하려 하기에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포트포워딩
NAT/라우터 - 포트포워딩으로 이동 후 포트포워딩을 진행해 준다.
외부 포드는 외부에서 접속할 때 사용하는 포트이며, 내부 IP 주소는 방금 고정한 라즈베리파이의 내부 IP 주소를 적어주면 된다. 내부 포트는 실제 접속한 이후 접속할 포트를 적어주면 된다.
이제 라즈베리파이에서의 설정을 이어가자.
putty를 이용해 외부 접근을 할 것이기 때문에 SSH 권한을 열어주도록 하자.
이제 접속을 하기 위해 IP 주소를 알아보자.
기본설정 - 시스템 상태 정보로 이동해 WAN 정보란의 WAN IP 주소를 확인하고, 이를 putty의 Host Name에 기입 후 포트 번호도 맞춰 접속해보자.
이제 공간의 제약 없이 집에 있는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