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들려고 합니다.
성격 유형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개 지표로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
성격은 각 지표에서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
지표 번호성격 유형
1번 지표 | 라이언형(R), 튜브형(T) |
2번 지표 | 콘형(C), 프로도형(F) |
3번 지표 | 제이지형(J), 무지형(M) |
4번 지표 | 어피치형(A), 네오형(N) |
4개의 지표가 있으므로 성격 유형은 총 16(=2 x 2 x 2 x 2)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FMN"이나 "TCMA"와 같은 성격 유형이 있습니다.
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 매우 비동의
- 비동의
- 약간 비동의
- 모르겠음
- 약간 동의
- 동의
- 매우 동의
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질문에서 4번 지표로 아래 표처럼 점수를 매길 수 있습니다.
선택지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 네오형 3점 |
비동의 | 네오형 2점 |
약간 비동의 | 네오형 1점 |
모르겠음 |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약간 동의 | 어피치형 1점 |
동의 | 어피치형 2점 |
매우 동의 | 어피치형 3점 |
이때 검사자가 질문에서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어피치형(A) 성격 유형 1점을 받게 됩니다.
만약 검사자가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네오형(N) 성격 유형 3점을 받게 됩니다.
위 예시처럼 네오형이 비동의, 어피치형이 동의인 경우만 주어지지 않고,
질문에 따라 네오형이 동의, 어피치형이 비동의인 경우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 매우 동의나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3점을 얻습니다.
- 동의나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2점을 얻습니다.
- 약간 동의나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1점을 얻습니다.
- 모르겠음 선택지를 선택하면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이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단,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
두 성격 유형 중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와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1 ≤ survey의 길이 ( = n) ≤ 1,000
- survey의 원소는 "RT", "TR", "FC", "CF", "MJ", "JM", "AN", "NA" 중 하나입니다.
- survey[i]의 첫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survey[i]의 두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choices의 길이 = survey의 길이
- choices[i]는 검사자가 선택한 i+1번째 질문의 선택지를 의미합니다.
- 1 ≤ choices의 원소 ≤ 7
1 매우 비동의 2 비동의 3 약간 비동의 4 모르겠음 5 약간 동의 6 동의 7 매우 동의
입출력 예시
입출력 예 #1
1번 질문의 점수 배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선택지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 어피치형 3점 |
비동의 | 어피치형 2점 |
약간 비동의 | 어피치형 1점 |
모르겠음 |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약간 동의 | 네오형 1점 |
동의 | 네오형 2점 |
매우 동의 | 네오형 3점 |
1번 질문에서는 지문의 예시와 다르게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어피치형(A) 성격 유형의 점수를 얻고,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네오형(N) 성격 유형의 점수를 얻습니다.
1번 질문에서 검사자는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했으므로 네오형(N) 성격 유형 점수 1점을 얻게 됩니다.
2번 질문의 점수 배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선택지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 콘형 3점 |
비동의 | 콘형 2점 |
약간 비동의 | 콘형 1점 |
모르겠음 |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약간 동의 | 프로도형 1점 |
동의 | 프로도형 2점 |
매우 동의 | 프로도형 3점 |
2번 질문에서 검사자는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했으므로 콘형(C) 성격 유형 점수 1점을 얻게 됩니다.
3번 질문의 점수 배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선택지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 무지형 3점 |
비동의 | 무지형 2점 |
약간 비동의 | 무지형 1점 |
모르겠음 |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약간 동의 | 제이지형 1점 |
동의 | 제이지형 2점 |
매우 동의 | 제이지형 3점 |
3번 질문에서 검사자는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했으므로 무지형(M) 성격 유형 점수 2점을 얻게 됩니다.
4번 질문의 점수 배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선택지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 라이언형 3점 |
비동의 | 라이언형 2점 |
약간 비동의 | 라이언형 1점 |
모르겠음 |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약간 동의 | 튜브형 1점 |
동의 | 튜브형 2점 |
매우 동의 | 튜브형 3점 |
4번 질문에서 검사자는 매우 동의 선택지를 선택했으므로 튜브형(T) 성격 유형 점수 3점을 얻게 됩니다.
5번 질문의 점수 배치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선택지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 네오형 3점 |
비동의 | 네오형 2점 |
약간 비동의 | 네오형 1점 |
모르겠음 |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약간 동의 | 어피치형 1점 |
동의 | 어피치형 2점 |
매우 동의 | 어피치형 3점 |
5번 질문에서 검사자는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했으므로 어피치형(A) 성격 유형 점수 1점을 얻게 됩니다.
1번부터 5번까지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합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지표 번호성격 유형점수성격 유형점수
1번 지표 | 라이언형(R) | 0 | 튜브형(T) | 3 |
2번 지표 | 콘형(C) | 1 | 프로도형(F) | 0 |
3번 지표 | 제이지형(J) | 0 | 무지형(M) | 2 |
4번 지표 | 어피치형(A) | 1 | 네오형(N) | 1 |
각 지표에서 더 점수가 높은 T,C,M이 성격 유형입니다.
하지만, 4번 지표는 1점으로 동일한 점수입니다. 따라서, 4번 지표의 성격 유형은 사전순으로 빠른 A입니다.
따라서 "TCMA"를 return 해야 합니다.
문제 풀이 방법
- 이번 문제는 진짜 잘 몰랐다...
- 우선 참고한 글에서는 각 순서마다 한개씩의 타입을 정리하여 이 타입을 이용해서 유형을 나누었다.
- 미리 객체에 선언할 수 있었지만 이런 방식을 사용한 이유는 자동으로 분류, 선언이 가능하므로
나중에 이런 방식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판단하여 사용했다. - 나눠졌으면, 이제 점수를 매겨야 한다.
그 전에 survey로 입력된 것을 비동의, 동의 순으로 해체할당하여 변수로 선언해주고
같은 인덱스에 있는 choice(점수)가 4이상이면 agree, 이하면 disagree에 점수를 더해준다 - 이때 더해주는 점수는 0부터 3점이지만 choice는 1부터 7로 나누기 때문에 작업을 한번 더 해줘야한다.
Math.abs()를 이용해 choice-4를 Math.abs(choice - 4)를 더해준다. - 그리고 나온 score를 이용해 결과를 반환해보자.
우선 타입별로 비교를 해주고 큰 값을 갖는 타입들을 join("")을 이용해 문자열로 합쳐주자
내가 작성한 코드
const solution = (survey, choices) => {
const score = {};
const types = ["RT", "CF", "JM", "AN"];
types.forEach(type =>{
type.split("").forEach((c) => score[c] = 0);
})
choices.forEach((choice, index) => {
// 해체할당으로 비동의 동의를 순서대로 분류
const [disagree, agree] = survey[index];
score[choice > 4 ? agree : disagree] += Math.abs(choice - 4);
// 절대값을 사용하는 이유는 1부터 7까지의 choices범위를 생각해서 [3, 2, 1, 0, 1, 2, 3]의 순서대로 점수가 들어가기 때문
})
return types.map(([a, b]) => score[a] < score[b] ? b : a).join("");
}